2022. 12. 12. 18:04ㆍ자동차지식
12월달이 되어가면서 날씨가 점점 추워지고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자동차의 타이어에서 바람이 빠지지 않아도
공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뜨기도 하는데요
기온이 낮아지는만큼 공기압이 뜨지 않아도 겨울철에는 40psi로 맞춰주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겨울철에 타이어 공기압은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맞추시게되며
차량에 짐을 많이 실고 다니시거나 다니는 도로 국도 위주인지 고속도로 위주인지에 따라서도
맞춰야하는 적정 수치가 있습니다
자동차를 구매하시면 운전석도어쪽에 차대번호가 있는데요
이 옆에 보시면 제조사별로 차량별로 권장하는 타이어 공기압 수치가 있습니다
55psi라고 되어있는 수치로 되어있으며
공기압에 따라서 연비, 승차감, 핸들링까지 좌지우지되기 때문이지요
먼저 계절별로 타이어 공기압 적정지수는
냉간시 | 열간시 | |
동절기(10월-4월) | 규정 공기압 | 규정 공기압 + 3 psi |
하절기(5월~9월) | 규정 공기압 + 3 psi | 규정 공기압 + 5 psi |
겨울철에는 노면이 미끄럽고 타이어가 수축되기 때문에 접지력을 올리려고
타이어공기압을 오히려 낮추는게 맞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이 것은 윈터타이어에 해당하는 항목이며
사계절용 타이어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겨울철에 타이어 공기압 수치를 5~10%올려주어야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낮을수록 승차감은 올라가지만
접지력이 좋아지기 때문에 마모가 빨리되어서 오래 사용할 수 없으며
타이어 공기압이 낮을수록 충격을 완화시켜줘서 승차감도 좋아지며
특히나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공기압을 적정수치로 맞춰줘야
연비, 승차감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운행을 장기간 하지 않는 경우에 경고등이 뜨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마모가 많이되어 있는 타이어일수록 위험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많이 마모되면 노면이 얼어붙은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지며
차량에 무리가 가실 수 있기 때문에
날씨가 추워진만큼 겨울을 대비하셔서 미리미리 타이어 공기압을 채워주시고
안전하게 운행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자동차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시스, 현대, 기아자동차 12월 납기 및 출고기간 (0) | 2022.12.23 |
---|---|
리스차 리스승계 , 장기렌트승계는 무엇인가? (0) | 2022.12.17 |
중고차대출금리 금융사별 비교해보자 (0) | 2022.12.15 |
자동차리스에서 금융리스는 무엇일까?(구매, 판매시, 장단점 총정리) (0) | 2022.12.09 |
자동차 경고등 종류 계기판 표시 알아보고 대비하는방법 (0) | 2022.12.07 |